부산 kt 소닉붐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0-21 시즌에 대한 내용은 부산 kt 소닉붐/2020-21 시즌 문서
부산 kt 소닉붐/2020-21 시즌번 문단을
부산 kt 소닉붐/2020-21 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파일:emblem-kt@2x.png
부산 kt 소닉붐
Busan kt Sonicboom
창단1997년 (27주년)
구단명
변천
광주 나산 플라망스 (1997년 ~ 1999년)
광주 골드뱅크 클리커스 (1999년 ~ 2000년)
여수 골드뱅크 클리커스 (2000년 ~ 2001년)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 (2001년 ~ 2003년)
부산 코리아텐더 맥스텐 (2003년)
부산 KTF 매직윙스 (2003년 ~ 2009년)
부산 kt 소닉붐 (2009년~ )
연고지
변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광주광역시 (1997년 ~ 2000년)
파일:여수시 CI.svg전라남도 여수시 (2000년 ~ 2003년)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부산광역시 (2003년 ~ 현재)
모기업 파일:KT 로고 (4K 해상도).png
구단주 구현모
구단주
대행
남상봉
단장 최현준
감독 서동철
주장 김현민
구단
사무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893 (조원동)[1][2]
홈 경기장염주종합체육관 (1997년 ~ 1999년)
여수진남체육관 (2000년 ~ 2003년)
부산 금정체육관 (2003년 ~ 2006년)
부산 사직체육관 (2006년 ~ 현재)
클럽
하우스
kt빅토리움
저지
스폰서
파일:켈미 로고1.png
워드마크 파일:부산 kt 소닉붐 워드마크.png
홈페이지파일:emblem-kt@2x.pn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우승 기록
챔피언결정전 우승 (0회)
정규시즌 우승 (1회)
2010-11
컵대회 우승 (0회)
플레이오프 진출
[ 펼치기 · 접기 ]
챔피언결정전
(1회 / 1패)
2006-07
4강 플레이오프
(6회 / 1승 5패)
2002-03, 2006-07, 2009-10, 2010-11, 2011-12
2013-14
6강 플레이오프
(8회 / 4승 4패)
1997, 2002-03, 2004-05, 2005-06, 2006-07
2011-12, 2013-14, 2018-19
프랜차이즈 팀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고 승률.759
2010-11시즌 54경기 41승 13패
최저 승률.185
2017-18시즌 54경기 10승 44패
최다 승41승
2010-11시즌 54경기 41승 13패
최다 패44패
2017-18시즌 54경기 10승 44패
최고 FA 계약3년 4억 7천만원[1]
2019-20시즌 김영환
[1] 첫 시즌 연봉
팀 컬러 / 유니폼
[ 펼치기 · 접기 ]
팀컬러
흰색 검은색 빨간 민트색
유니폼
파일:KT Sonicboom 18-19 uniform.png

1. 팀 소개
2. 우승 기록
3. 역사
4. 팬덤
5. 사건 사고
5.1. 나산 시절 김병천 황순팔 폭행 사건
5.2. 연고지 이전: 광주에서 여수로, 여수에서 부산으로
5.3. 전창진 승부조작 사건 및 이적 루머
5.4. 중국 팀과의 난투극
5.5. 조성민 트레이드 후 팬들의 분노 및 수원 연고이전 루머
5.6. 박철호 음주운전 사건
5.7. 앨런 더햄, 바이런 멀린스 자진 퇴단 사건
5.8. 농구판 족발게이트
6. 타 팀과의 관계
7. 역대 감독
8. 역대 성적
9. 선수단
10. 유니폼
11. 응원단
12. 마스코트
13. 이모저모
13.1. 트레이드&FA와 신인 지명의 흑역사
14. 둘러보기
15. 관련 문서




1. 팀 소개[편집]


한국프로농구의 부산 연고 팀이자 kt스포츠 산하의 농구단이다.

나산 플라망스-코리아텐더 푸르미/멕스텐의 후신팀으로 2003-2004 시즌의 KTF 매직윙스 시절부터 이어지고 있다.


2. 우승 기록[편집]


KBL 정규리그 우승 팀
2009-20102010-20112011-2012
울산 모비스 피버스부산 kt 소닉붐원주 동부 프로미


3.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산 kt 소닉붐/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팬덤[편집]


부산 kt의 팬덤은 크게 5가지 부류로 나뉜다.

1. 과거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시절 왕조의 부류 (올드팬 -> 이중 기아의 후신으로 몰락한 명가인 모비스, 허재를 따라 김주성과 함께 왕조를 쓴 TG 삼보-동부, 근거리로 강동희와 김영만이 몸담았던 LG로 삼등분 되기도 했다.)

2. 전신 약체였던 나산 플라망스-골드뱅크 클리커스-맥스텐 시절 응원했던 광주와 여수 출신 부류 (올드팬)

3. 기아 이후 부산 농구의 희망이었던 KTF 매직윙스로 바뀔때까지 응원한 부류 (올드팬)

4. TG 삼보-동부의 명장이었던 전창진 감독 시절 때부터 조성민 선수와 이재도 선수를 통해 우수한 성적에 의해 유입된 부류

5. 2018-2019 시즌을 기점으로 서동철 감독과 김영환 선수 그리고 영건인 허훈 선수와 양홍석 선수 등 제2의 황금세대 시기에 유입된 부류

5. 사건 사고[편집]



5.1. 나산 시절 김병천 황순팔 폭행 사건[편집]




5.2. 연고지 이전: 광주에서 여수로, 여수에서 부산으로[편집]


앞서 서술했던 것처럼 두 번이나 연고지를 옮겼는데, 농구단으로서의 생존을 위해 연고지 이전을 감행했다. 그래서 다른 연고지 이전 사례와 비교하면 결별 과정이 상당히 매끄러웠다.[5]

최초의 홈 경기장이였던 광주 염주종합체육관은 규모가 엄청 큰 데 반해 나산 플라망스의 인기가 저조했고, 대관료가 엄청 비싸서 구단 운영에 큰 어려움으로 작용했다. 그래서 홈 경기 일정의 일부를 광주가 아닌 전라북도 군산시군산월명체육관[6]에서 치렀는데, 군산의 농구 열기가 광주보다 뜨거워서 사실상 월명을 홈 경기장으로 애용했다. 더불어 비슷한 시기에는 전라남도 여수시의 흥국 체육관에서도 홈 경기를 나눠 치렀는데, 여수의 농구 열기는 군산보다 더 뜨거웠다. 결국 팀이 나산에서 골드뱅크로 바뀔 때, 연고지도 아예 여수시로 옮겼다.

하지만 골드뱅크-코리아텐더 구단마저도 생존에 위협을 느끼게 됐고, 또 다시 구단 매각을 추진하게 된다. 코리아텐더는 선수들의 선수 생활 지속을 위해 의욕적으로 매각을 추진했지만, 시장은 좁디 좁은 여수시의 시장성을 눈여겨보지 않았다. 결국 구단 측이 "농구밖에 모르는 선수들의 생존을 위해 여수를 떠납니다. 집안의 미래를 위해 가난한 딸을 부잣집에 시집 보낸다고 생각해주십시오. 그래야만 친정이 있는 서쪽 여수의 하늘이라도 바라볼 수 있지 않겠습니까."라고 시민들에게 눈물로 호소했고, 여수 시민들도 "아쉽지만 이왕 큰 도시에 가서 잘 되길 바란다"고 환송하면서 당시 프로농구팀이 없었던 부산으로의 연고지 이전을 승낙했다. 결국 부산광역시로 연고지를 옮긴 후, 거대 통신기업인 KTF(現 KT 이동통신 부문)에 인수돼 안정적인 환경에서 구단을 운영할 수 있게 됐다.[7]

부산광역시에 와서도 홈 경기장을 한 번 옮겨야 했다. 여수를 떠나 처음 부산에 둥지를 틀었을 때는 금정구 두구동금정체육관[8]을 썼는데, 부산에서도 제일 북쪽에 치우쳐 있고 대중교통편이 애매해 관중 유치에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2006년부터 부산 시내 한복판에 있는 사직종합운동장사직실내체육관으로 홈 코트를 옮겨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5.3. 전창진 승부조작 사건 및 이적 루머[편집]




5.4. 중국 팀과의 난투극[편집]




5.5. 조성민 트레이드 후 팬들의 분노 및 수원 연고이전 루머[편집]





5.6. 박철호 음주운전 사건[편집]




5.7. 앨런 더햄, 바이런 멀린스 자진 퇴단 사건[편집]




5.8. 농구판 족발게이트[편집]




6. 타 팀과의 관계[편집]



6.1. 창원 LG 세이커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낙동강 더비(농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서울 SK 나이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통신사 더비(농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3. 원주 DB 프로미[편집]




6.4. 전주 KCC 이지스[편집]




7. 역대 감독[편집]


역대이름재임 기간비고
초대황유하1997년 ~ 2000년시즌 중 사임
대행김태일2000년
2대진효준2000년 ~ 2002년시즌 종료 이후 사임
대행이상윤[13]2002년 ~ 2003년
3대추일승2003년 ~ 2009년KTF-kt 초대 감독 [14]
2006-2007 KBL 플레이오프 준우승
3년 연속 KBL 플레이오프 6강
6년 지휘
4대전창진2009년 ~ 2015년KTF-kt 합병 이후 감독 및 kt 2대 감독 [15]
2010-2011 KBL 정규리그 우승
재임기간 중 3년 연속 4강 포함 KBL 플레이오프 4강 4회
6년 지휘
5대조동현2015년 ~ 2018년kt 3대 감독
KTF-kt 출신 첫 감독
재임 기간 도중 KTF-kt로 이름이 바뀐 뒤에 재임기간 동안 모두 PO 진출에 실패
2017-2018 시즌 10승 44패로 구단 역대 최저성적 및 KBL 역대 4번째[16] 최저 성적 기록
6대서동철2018년 ~ 현재kt 4대 감독
5년만에 KBL 플레이오프 6강
2년 연속 플레이오프권 정규리그 6위

* KTF-kt 시절 이후 시즌 중 사임 및 사퇴 감독은 현재까지 나오지 않았다. 추일승과 전창진은 6년을 재임했다.

8. 역대 성적[편집]


­우승
­준우승
­포스트시즌 진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연도순위/팀숫자포스트시즌경기수승률
광주 나산 플라망스
19975/85위219120.429
97-987/107위4521240.467
98-999/109위4513320.289
광주 골드뱅크 클리커스
99-009/109위4518270.400
여수 골드뱅크 클리커스
00-018/108위4517280.378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
01-027/107위5426280.481
02-034/104위5428260.519
부산 KTF 매직윙스
03-048/108위5419350.352
04-054/104위5432220.593
05-064/104위5429250.537
06-073/10준우승5432220.593
07-088/108위5424300.444
08-0910/1010위5412420.222
부산 kt 소닉붐
09-102/102위5440140.741
10-111/101위5441130.759
11-123/103위5431230.574
12-139/109위5420340.370
13-145/105위5427270.500
14-157/107위5423310.426
15-167/107위5423310.426
16-179/109위5418360.333
17-1810/1010위5410440.185
18-196/106위5427270.500
19-206/106위[17]4321220.488
KBL 통산 24시즌-12165616550.461



9. 선수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산 kt 소닉붐/선수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감독서동철
수석코치박세웅
코치배길태 · 박종천
가드0 정진욱 · 2 허훈 · 4 최진광 · 5 이상민 · 10 최성모 · 16 김윤태 · 30 김우람 · 55 김종범
포워드2 조상열 · 3 한희원 · 9 김영환 · 11 양홍석 21 문상옥 · 23 박준영
센터7 김민욱 · 8 이정제 · 13 김현민
군입대 최창진




10. 유니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산 KT 소닉붐/유니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응원단[편집]


2021-22 시즌 수원 kt 소닉붐 응원단
응원단장송종민
장내 아나운서주태하
치어리더강지유, 김새별, 김수현, 김연정, 김유나, 목나경, 박재령, 염지원, 이은지, 이하윤

* 공식 홈페이지는 19-20 시즌. KBL 통합 사이트에는 미기재. 각종 자료로 대신 기재.

12. 마스코트[편집]


마스코트는 kt 소닉붐으로 바뀌기 이전부터 설명한다.

나산 플라망스 시절에는 홍학을 썼으며, 골드뱅크로 인수 된 뒤에는 클리커스라는 마스코트를 썼다. 이후에는 코리아텐더 푸르미, 흑역사코리아텐더 맥스텐, 부산 KTF 매직윙스로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사용했다가 마스코트의 변경과 함께 더 이상 볼 수 없었다. 참고로 골드뱅크-코리아텐더의 그 마스코트는 인간 형태에 주먹을 불끈 쥐는 소년의 모습이다. 푸르미라는 개미는 2010년 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의 마스코트이기도 했다.

파일:/image/020/2004/10/18/200410180291.jpg (출처 : 네이버 뉴스)
2003-04 시즌 종료 뒤 위니미니라는 박쥐형태의 마스코트를 선보였는데, 생김새가 친근한 데다 역대 마스코트를 통틀어서 가장 오래한 마스코트다. 나중에는 자사에서 만든 쇼군을 합류하기도 했다.

파일:/image/065/2009/10/15/091015m01_0.jpg
(2009년 출정식 중)

KTF 매직윙스에서 kt 소닉붐으로 바뀐 뒤에는 마스코트도 공개되었는데 문제의 2009-10 시즌 kt의 우주복 마스코트는 흑역사. 생김새가 너무 심각한데다 디자인도 후져 버리는 바람에 처참했으며 최악의 막장 마스코트로 자리 잡고 말았다. 모비스 오토몬스의 초창기 마스코트[19]와 함께에서 1, 2위를 다투고 있을 정도. kt와 KTF의 통합 후 게임단 kt 롤스터의 초창기 팀명이었던 kt 핑거붐과 함께 희대의 삽질작으로 기록되었다. 팀의 성적은 좋았으나 정작 문제의 우주복 마스코트는 사실상 매장 당했다. 모 기업(kt)의 구단과 모든(야구, 축구, 농구, 배구를 합쳐도) 마스코트에겐 있어선 큰 재앙이나 다름없었다. 그리고 3년뒤인 2012년 통신기업 라이벌의 모 구단에서 초병맛 마스코트가 등장하는데...

2010-11 시즌 부터 우주복 흑역사 마스코트를 대신해 올레와파와 갈매기 형태의 모습을 한 디비라가 대신하며 소닉붐의 새 마스코트가 되었는데 의외로 괜찮다. 참고로 올레와파의 와파는 와이파이의 줄임말이다. 일단 디비라라는 갈매기의 경우 이름의 유례가 '뒤집어라'의 부산 사투리이며 팀 명칭을 상징하는 마스코트라기 보다는 연고지인 부산을 상징하는 마스코트인 듯 하다. 나골코-kt 구단이 동물을 마스코트로 하는 것은 전신인 코리아텐더 푸르미 이래 7년만이다. 한편 올레와파의 디자인은 나중에 kt 롤스터에게도 사용되었다.(일부는 다른 점이 있다.)

한편 자사 마스코트인 키봇을 투입시키도 했다. 이 마스코트는 kt 롤스터의 경기에도 나온다.

파일:iRVjLaz.png
디비라&올레와파

현재는 코리토리가 마스코트로 있다.


13. 이모저모[편집]













13.1. 트레이드&FA와 신인 지명의 흑역사[편집]


흔히 인천 전자랜드가 드래프트 잔혹사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지만, kt도 상위픽 경험이 거의 없다시피 했다. 문제는 그렇게 상위픽 뽑아놓고 지명권 양도라던지 불미스러운 일에 걸려 1라운드 픽을 아예 뺏긴다던지, 가만히 있으면 신인 드래프트 로터리픽임에도 혼혈 드래프트에서 뜬금없이 박태양(영어명 크리스 밴)을 영입했다가 1년만에 계약해지하고 픽만 날린 사례도 있다.[25]

근 15년간 상위 순번을 날려먹은 선수들을 나열해보면 정규시즌 평득 20+인 마지막 국내선수 겸 리그 최고의 스포[26], 리그 최고 슈가 겸 국대 스코어러[27], 15-16 KBL 파이널 MVP[28], 그리고 차세대 국대 포가로 성장할 수 있는 슈가 유망주[29][30]이다. 여기에 이종현도 추가될 차례였지만 이종현은 부상으로 인해서 유리몸으로 인해 패스.[31]

더 웃기는건 그렇게 지명권을 날려먹을 때는 상위픽이 잘도 뽑히는데 그 나머지 연도에는 3픽에도 들지 못한다는게 문제. 2016 드래프트도 불운은 어디 가지 않아서 6픽이 걸리고 말았다. 이 당시 송영진 코치는 그렇다쳐도 조동현이 저렇게 짠해보이는 표정을 보이는건 처음 보였으며 그나마 올해는 조성민 - 김영환 트레이드의 결과로 1픽 확률이 32%로 늘어나긴 했는데, 허훈 드래프트라 불릴 정도로 딱히 보이는 인재도 없고 그마저도 허훈이 이 당시의 혹사의 여파로 1픽의 실력이 맞는지 의구심이 들고 있었다.

그리고 18년도 드래프트까진 역대급 망드랲이 될거라는 예상이 많은 만큼 설령 픽을 좋게 얻는다 해도 상위권의 성적을 거두긴 힘들어보였는데 양홍석과 유현준의 얼리 참가로 한 줄기 빛이 보이게 됐다. 그리고 다행이도 1-2번 픽을 얻어서 허훈-양홍석 듀오를 지명했지만.... 당해 팀 성적이 02롯데를 연상시킬 만큼 망해버리고 13한화를 연상시킬 만큼 망해버리면서 2017-2018 시즌 신인상은 안영준에게 넘어가고 말았다. 참고로, KBL 신인왕은 최하위팀 루키에게 수상되지 않는다.

어쨌든 이런 이유로 인해 현재 kt는 KBL 10개 구단 중 신인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한 유일한 구단이다.[32] 다만 다행이도 허훈-양홍석 드랲 이후로는 박준영-박지원으로 이어지는 로터리픽에 연이어 당첨되며 적어도 로터리픽의 불운은 어느 정도 끊어내면서 미래가 있는 팀으로 촉망받고 있다.[33]

또한 FA 영입을 잘 못하는 구단이기도 하다.[34] 2014년부터 2020년 사이에 롯데 자이언츠와 2014년부터 2018년 사이에 한화 이글스가 돈을 많이 쓰고도 성적부진으로 인해 야구팬들에게 조롱을 받고 있는데, 이 분야의 원조가 kt다.[35] 부산 kt 팬들은 거래호구라는 비판을 하고 있다.[36]

그 대표적인 예가 김현중, 이광재, 천대현, 김기윤, 박철호인데, 이 중 이광재는 2014-15 오프시즌에 영입되었지만 본인이 먹튀가 되어버리면서 그가 있었던 4시즌 동안 KT가 PO에도 진출하지 못하는 결과를 맞았으며, 김기윤, 박철호는 FA 계약을 주자마자 음주운전 교통사고를 저지르면서 2018-19 시작 전에 서동철 감독의 계획을 어그러트리며 끝내 안양 KGC와 추가로 트레이드를 할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을 만들며 변준형을 놓치는 주된 원인이 되고 말았다.

14. 둘러보기[편집]


파일:kt스포츠 로고.svg


파일:KT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계열사
ICT/부동산KT | 파일:KT텔레캅 로고.png | kt sat | KT엔지니어링 | kt cs | KT링커스 | KT서브마린 | 파일:kt ds CI_01.png | kt NexR | kt service 남부 | kt service 북부 | 파일:kt_M_mobile_logo.png | kt estate | INOTECH | kt is | kt MOS 남부 | kt MOS 북부 | KT커머스 | kt m&s | 후후앤컴퍼니
미디어/컨텐츠파일:지니뮤직(기업) 로고.svg | 파일:kt alpha CI.png | 파일:PLAYD_CI_dark.jpg | 파일:skyTV.png | 파일:스카이라이프 로고.png | 나스미디어| 파일:HCN_Logo_투명화.png
금융파일:비씨카드 로고.svg | 파일:logo_kbank.png | Smartro | 브이피(주) | H&C Network | kt mhows | kt investment
스포츠파일:kt_sports_logo.png(파일:kt wiz 이미지심볼.svg, 파일:부산 kt 소닉붐 워드마크.png, 파일:kt 롤스터 심볼.svg, 파일:kt 사격단 로고.svg, 파일:kt 하키단 로고.svg)
비판 | 광고 | 역대 대표





15. 관련 문서[편집]


[1]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2] kt wiz의 홈구장이며 kt 스포츠의 사무실이 위치해있음[3] 2014년에 개명을 했다.[4] 신인 시절 김병천은 식스맨 겸 로테이션 주전으로 나오는 등 활약을 하고 있었다. 좀만 더 크면 팀의 핵심 멤버가 될 만한 인재였지만 이 사건으로 프로 인생이 꼬이고 만다.[5] 연고지 이전 항목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결별 과정이 웬만한 막장 부부의 이혼을 뺨칠 정도로 지저분한 사례가 꽤 있다.[6] 2014년부터 전주 KCC 이지스의 제2 홈구장으로 쓰인다.[7] 당시 여수 시민들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았던 부산 KTF 매직윙스는 여수 시민들의 사랑에 보답하기 위해, 2007~2008 시즌 마지막 홈 경기(vs KT&G)를 여수 진남체육관에서 치렀다. 이 경기에서 80:77로 승리하였다.[8] 부산광역시청보다 양산시청이 더 가깝다. 2019년부터는 부산 BNK 썸 여자 프로농구단의 홈 구장으로 쓰인다.[9] 시즌권을 소유한 팬들만 앉을 수 있는 좌석에 조성민 유니폼을 두기만 하고 경기를 보지도 않는 식으로 항의를 했다. 다만 김영환 선수도 억울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 조성민 선수와 같은 처지였다. 게다가 김영환은 kt에서도 5년이나 뛰었던 선수이기 때문에 사실상 친정팀에 돌아온 것이다. 사실상 저 욕설한 팬들이 당연히 잘못한 일이다.[10] 알 사람은 다 알겠지만, kt의 숙소 겸 훈련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kt빅토리움부터 수원시에 위치해 있으며 2010-2011 시즌부터 사용 중이다. 전신 KTF 시절부터 2009-2010 시즌까지는 숙소가 없어서 사직실내체육관 인근인 부산 사직동의 한 아파트에서 숙식을 해결했다.[11] 잠실종합운동장 돔구장 건설계획이 확장되면서 잠실학생체육관잠실실내체육관을 전부 없애게 되어 SK 나이츠삼성 썬더스가 모두 홈구장이 일시적으로 없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미치지 않는 이상 서울 연고를 포기할 팀은 없기에 그래도 삼성전자 공장이 있는 서울 삼성 썬더스를 제외하면 시설도 좋지 못한 전 삼성 썬더스의 홈이었던 수원체육관과 WKBL 위탁운영팀으로 OK 읏샷의 임시홈이었던 서수원칠보체육관이 있는 수원으로의 연고이전 가능성은 낮다.[12] 기승호가 3번을 본다지만 김영환과 비교하여 BQ, 골 결정력, 전술 이해도 측면에서 훨씬 하위호환이다. 그렇다고 마리오 리틀이 팀플레이에 잘 녹아드는 선수냐 하면 그게 아니라서......[13] 미디어는 감독대행[14] kt 소닉붐 구단 홈페이지는 전신 나산-코리아텐더-골드뱅크 시절 역사 승계 없음. 부산지역 언론은 KTF 초대 감독 기재. [15] kt 소닉붐 구단 홈페이지는 전신 나산-코리아텐더-골드뱅크 시절 역사 승계는 없으며 KTF 시절도 있었지만 2009-2010 시즌부터 구단 스토리로 다룸. 부산지역 언론은 kt 2대 감독 기재. [16] 54경기 체제에서는 3번째.[17] 코로나 19로 시즌 조기 종료 플레이오프 미개최[18] 부산 kt 소닉붐,창원 LG 세이커스,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로 공교롭게 그 팀들 다 현대모비스(2007년 kt 3승 4패 2014년 LG 2승 4패 2019년 전자랜드 1승 4패)를 넘지 못한 채 준우승에 그치고 만다.[19] 삼원색에 얼굴을 띈 마스코트다.[20] 2010~2011 시즌 정규리그 우승 후 전창진은 롯데 홈 경기에 시구하러 왔는데 이 때 롯데 팬들은 '전창진을 롯데 감독으로 데리고 와라' 는 말도 했었다.[21] 엠블럼 하단에 축구, 그 이상의 가치 라는 문구가 들어가 있었으나, 독수리 모양의 엠블럼을 썼던 Hi FC 시절에 비해 엠블럼이 촌스럽게 퇴보되었다는 혹평을 받았다.[22] KNN 파워FM 노래하나 얘기둘 진행자이기도 하다.[23] BNK 금융지주는 부산의 BNK 부산은행과 창원 이하 경남의 BNK 경남은행이 같이 소속된 부산-창원-경남의 지역대표 금융은행사다.[24] 하지만 KT소닉붐tv도 붐업티비 시절에는 컨텐츠가 재미없기로 유명해서 들이 불만을 토로한적이 있다. https://m.youtube.com/watch?v=PVdYnj7qFjY [25] 하지만 그해 로터리픽 중 현재 1군에서 그나마 활약하는 선수가 허일영 외에는 없다.[26] 다만 그래도 이쪽은 워낙 유리몸이었고 그가 SK에 있는 동안 PO 진출에 거의 실패했기에 큰 손해는 아니었다.[27] 그 당시 로터리 픽으로 박찬성, 박형철이 거론되었지만 뜬금포로 이정현을 뽑은게 이상범이었다. 1픽은 29승 밖에 못해서(...) 탈락한 7위 인삼공사가 박찬희를 지명했다. 언뜻보면 그 연도에 2픽을 얻었지만 이 픽은 인삼공사에 넘어갔다. 그래도 이정현을 뽑았을 것인지에 대한 의문은 있다.[28] 2013년 오리온스(현 오리온)와의 4:4 트레이드에서 트레이드로 보낸 김도수가 도핑에 적발되면서 도핑 사실을 알고도 보냈다는 의혹에 휩싸여 1라운드 지명권을 날려먹었고 결국 이는 뼈아픈 댓가로 돌아왔다. 그나마 1순위 당첨 픽은 날려먹은 것이 아닌 원래 오리온 픽이라 의미는 없었다지만...[29] 후술하겠지만 이는 김기윤과 박철호의 잘못이 크다.[30] 그래도 20-21시즌들어서는 박준영이 제 몫을 어느정도 해주면서 논란은 어느정도 사그라 들었다.[31] 다만 이종현은 오리온 이적 이후 살아나면서 이 항목이 부활할 여지가 남았다.[32] 그나마 롯데는 염종석이 신인왕을 수상한 것이 1번이라도 있고, 아이파크 역시 송종국이 1차례 수상한 적이 있다. 한화는 전신 빙그레 시절 이정훈을 시작으로 한화로 명칭이 바뀐 이후 이글스의 레전드라 불리우는 김태균류현진도 신인왕을 받았었으며, 심지어 같은 형제 야구단인 kt 위즈는 2018년에 강백호가, 2020년에는 소형준마저 신인상을 수상하며 2차례나 신인왕을 거머쥐었다.[33] 만약 이번 시즌을 마치고 박지원이 신인상을 받게 된다면 2001년 부산 아이콘스의 송종국 이후 20년 만에(종료 시점이 2021년이므로) 신인상을 수상하게 된다.[34] 그나마 잘 써먹고 있는 경우는 원주 TG에서 데려온 신기성, 그리고 저니맨 생활을 하다가 FA 신분으로 다시 KT로 돌아온 김종범, 그리고 첫해는 날렸지만 2년차부터 좋은 활약을 하고 있는 김현민 정도.[35] 이 이전까지 롯데는 짠돌이 프런트라 불릴 정도로 돈을 안 섰고, 한화는 쓸 껀 쓰지만 내외부가 허약하다.[36]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롯데는 FA 계약 당시까지만 해도 A~B급 선수를 데려왔는데 그 선수가 망해서 먹튀를 데려왔다고 욕을 먹는 반면, KT는 FA에 선수가 있으면 1옵션인 A~B급을 영입을 못하고 롤 플레이어 위주로 영입하다가 시즌 전체를 죽쑤면서 선수들을 욕먹게 하는 케이스다. 그러나 내부FA, 즉 집토끼와의 재계약은 의외로 큰 손해를 보지 않는 편이며, 외부FA에서 실패를 보는 경우가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4:51:22에 나무위키 부산 kt 소닉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